제13강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문학적 대응들
편집하기 (부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금오신화> ==== 원나라 말 구우가 <전등신화>를 썼고, 성종 때 성임이 <태평통재>를 엮을 때 <전등신화>를 언급한 것으로 보아 성종 연간 이전부터 조선에서 <전등신화>가 읽혔음을 알 수 있음. 김시습도 <전등신화>를 읽고 그에 자극받아 <금오신화>를 썼음. 현존하는 <금오신화>에는 만복사저포기, 이생규장전, 취유부벽정기, 남염부주지, 용궁부연록 다섯 편의 작품이 실려있음. -> 주목해야 할 점은 <금오신화>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문학적 대응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는 것. 만복사저포기는 ‘만복사에서 저포로 내기를 한 이야기’라는 뜻. 이생규장전은 ‘이생이 담장을 엿본 이야기’라는 뜻 (내용은 본책 74~75쪽) 이 두 소설은 외관상으로는 남녀의 사랑이야기. 그러나 주목할 점은 남녀주인공 모두가 절의를 지킨다는 사실. 특히 여자주인공은 감당할 수 없는 폭력에 맞서 정절을 지킴. 이것은 열녀 이데올로기를 부추기기 위한 것이 아님. 남자 주인공 역시 지조를 보여주는 것에서 인간 일반에게 요청되는 지조라는 덕목을 부각하기 위 함임을 알 수 있음. 즉, 이 두 소설은 사랑이야기는 단지 외피일 뿐이고, 인간의 삶에서 ‘절의란 무엇인가?’를 묻고 탐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는 소설. 작가는 ‘절의’가 인간의 삶에서 가장 가치 있고 종요로운 것이며, 인간을 인간 답게 만드는 것이라고 보고 있음. -> 이러한 관점에서 보자면 절의, 지조라는 것은 단순한 유교적 덕목이 아니라 존재의 내적 순수성을 지키려는 행위로까지 나아감. -> 이 점에서 생에 대한 작가의 지향과 가치 의식을 느낄 수 있음. 그러나 두 여성주인공은 세계의 폭력에 희생되게 됨. 남성주인공 역시 그 연장선상에 서있음. 이들은 세계에 패배했음에도 폭력 앞에 무릎을 꿇지는 않음. 이러한 주인공들의 태도는 ‘절의’에 대한 작가의 메시지를 전달함. 즉, 작가에게 절의는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최후의 보루, 인간 주체성의 문제인 것. 그리고 이 점에서 김시습에게 절의가 단순한 윤리 문제가 아니라, 존재론적이고, 미학적인 것으로까지 확장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윤리학과 존재론과 미학의 통일을 이뤄내고 있는 것.) -> 이러한 메시지는 작가가 세조의 왕위 찬탈 이후 겪은 삶, 고뇌와 사유, 깨달음이 반영된 것이라는 것이 주목됨. -> 만복사저포기와 이생규장전은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김시습의 감정을 사랑의 외피를 통해 은유적으로 드러낸 이야기. ‘술에 취해 부벽정에서 노닌 이야기’라는 뜻인 취유부벽정기는 고사를 인용해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고 있음. (줄거리 77쪽) 이 작품 역시 절의를 부각하고 있으며, 준왕(準王)에 대한 위만의 왕위 찬탈을 거론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됨. 이는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기 위한 것. 이와 관련해 작가는 홍생이 준왕의 딸을 만난 시점을 세조 당대의 일로 서술해 과거와 현재의 왕위 찬탈을 오버랩 시키고 있음. 남염부주지는 ‘남쪽 염부주 이야기’라는 뜻이며, 취유부벽정기보다 더 직접적으로 세조의 왕위 찬탈을 비판하고 있음. * 남염부주: 불교에서 수미산 남쪽에 있는 대륙 취유부벽정기와 마찬가지로 세조 당대가 작품의 배경임. 또, 주인공이 거주하는 공간이 경주라는 점에서 작가의 실존이 투사되어 있다고 여겨짐. 주목할 점은 작품에 김시습의 정치사상이 피력되어 있다는 것임. 1. 전제군주에 대한 반대 <nowiki>:</nowiki> “'''나라를 소유한 자는 폭력으로 인민을 겁박해서는 안 되오'''. 인민이 비록 두려워하며 따르는 듯 보이지만 속으로는 반역할 마음을 품어 시간이 흐르면 큰 재앙이 일어날 것이오” -> 염라대왕이 박생에게 한 말. 2. 국가는 인민의 것이라는 생각 <nowiki>:</nowiki> “덕 있는 자는 힘으로 군주의 자리에 나아가서는 안 되오 (…) 대개 나라란 인민의 나라요, 명이리란 하늘의 명이라오. 천명이 이미 떠나고 민심이 이미 떠나면, 비록 몸을 보전하고자 한들 어찌하겠소?” -> 염라가 박생에게 한 말. <금오신화>에는 수양대군의 왕위 찬탈에 대한 비판이 담겨 있고, 이러한 상황에서 선비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묻고 답하고 있음. 이를 통해 국가.인민.군주의 관계에 대한 정치사상적 인식의 진전을 보여주고 있으며, 선비에게 가장 중요한 가치가 절의임을 확인하고 있음. <금오신화>에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김시습의 입장이 드러나는 것은 맞지만, 정론(政論)의 개진이 아닌, 허구를 통한 문학적 형상화라는 ‘미학적 방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이 중요함. -> 이로써 한국 문학은 정치적 현실과의 대결에서 새로운 높이를 확보하게 됨. -> <금오신화> 속의 높은 예술적 긴장감, 폭력적 세계에 맞서는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옹호, 국가와 민에 대한 깊은 통찰 등이 이를 뒷받침. 이러한 점에서 <금오신화>는 미증유의 문학사적 성취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음. 그리고 이러한 성취는 김시습의 비극적 삶에서 시작된 것. * 미증유(未曾有): 전례가 없는 혁신적인 사건이나 변화. <금오신화>가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은 것은 맞지만, 모방한 것은 아님. 이 두 작품은 전기소설이라는 점에서는 일치하지만 서로 다른 주제 의식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 <금오신화>가 왕위 찬탈이라는 정치적 사건에 대한 음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면, <전등신화>는 전란이 인간의 운명에 어떤 어두운 그늘을 드리우는가를 탐구하는 것에 관심을 두고 있음. 16세기 전기, 베트남에서 완서(阮嶼)가 <전등신화>의 영향을 받은 <전기만록(傳奇漫錄)>이라는 소설을 창작했는데, 이는 이민족 중국에 맞서는 베트남 인민에 주목하는 저항적 민족주의의 면모가 확인됨. 동아시아 문학사로 본다면 14세기 후반, 원나라 말기에 <전등신화>가 창작되고, 그 영향으로 15세기 후반에 조선에서 <금오신화>가, 16세기 전반에 베트남에서 <전기만록>이 창작된 것. 이 작품들은 모두 전기소설이지만, 주제 의식이 모두 다름. (이는 작가의 시공간이 다르기 때문에, 실존이 달라졌기 때문)
요약:
DHinDS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DHinDS: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이름공간
문서
토론
한국어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