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강 탈놀이와 민족의식
편집하기 (부분)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경고:
로그인하지 않았습니다. 편집을 하면 IP 주소가 공개되게 됩니다.
로그인
하거나
계정을 생성하면
편집자가 사용자 이름으로 기록되고, 다른 장점도 있습니다.
스팸 방지 검사입니다. 이것을 입력하지
마세요
!
=== 도시 탈놀이가 나례희.산대희에서 물려받은 것들 === 18-19세기의 도시 탈놀이는 민간에서 흥행을 위해 공연되었기 때문에 나례희.산대희(왕실적. 국가적 공연)와는 본질적 차이가 있음. {| class="wikitable" | |나례희, 산대희 |도시 탈놀이 |- |본질적 차이 |왕실적, 국가적 공연 |민간에서 흥행을 위해 공연됨. |- |향유층 |지배층. (지배층의 구미에 맞는 내용으로 창작됨.) |피지배층 (하층민의 구미에 맞는 내용으로 창작됨) |- |양반 |양반을 ‘대상화’하는 놀이가 없음. |양반을 대상화하는 놀이가 있음. -> 양반을 극도로 희화화하고 조롱(머저리와 장애인으로 표상됨) |- |대사 |대사가 없음. (탈춤에 노래가 동반되기는 함) |양반을 놀리고 능욕하기 위해 긴 대사를 창조해냄.(민중의 말) |} 나례희, 산대희와 도시 탈놀이는 본질적으로 다르지만, 몇몇 요소를 가져오기도 함. 본산대놀이에는 산대희와 다르게 산대를 설치하지 않지만, 산대라는 말을 넣은 것은 연희주체가 동일하고, 산대희의 몇몇 요소가 계승되고 있기 때문. “신라의 처용은 칠보를 몸에 걸치고 / 꽃가지 머리에 꽂아 향기로운 이슬이 떨어지네. / 이리저리 오가며 긴소매로 태평무를 추는데 / 취한 뺨 발그레해 아직 술이 덜 깬듯.” 고려 말 이색의 <구나행>, 나례를 보고 읊은 시. <처용무>는 긴 소매를 너울거리며 추는 춤인데, 이 ‘긴 소매’가 본산대놀이를 비롯한 도시 탈놀이에 계승되고 있음. 나례는 역신, 잡귀 <-> 퇴치차의 대립 구조로 짜여 있고, 퇴치자인 십이지신이나 처용이 춤을 추며 역귀나 잡귀를 쫒아냄. 도시 탈놀이는 이러한 대립구조를 다양한 방식으로 변주하여 원용하고 있음. (탈놀이: 취발이 <-> 노장, 말뚝이 <-> 양반의 대립, 나례: 역신 <-> 퇴치자. 구조의 상동성) <양주별산대놀이>의 연잎.눈끔쩍이 과정과 <봉산탈춤>, <양주별산대놀이>의 팔먹중 과장에서 나타나는 물리침의 형식이 나례의 벽사 형식과 동일함. (연잎은 천살성이고 눈끔쩍이는 지살성. 이들의 눈살을 맞으면 누구든 죽어서 부채로 눈을 가리고 등장함. 이들이 상좌, 옴중, 먹중을 차례로 물리침.) 나례에 있는 사자탈춤이 도시 탈놀이에 나타나기도 함. 그러나 나례의 벽사의식은 약화되고 오락성이 강화됨. =>도시 탈놀이는 나례의 이원적 대립구조, 물리침의 형식, 벽사 의식을 수용하고 있으면서도 새로운 오락적 텍스트를 창조하고 있음.
요약:
DHinDS에서의 모든 기여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라이선스로 배포된다는 점을 유의해 주세요(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DHinDS:저작권
문서를 읽어주세요). 만약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면 문서를 저장하지 말아 주세요.
또한, 직접 작성했거나 퍼블릭 도메인과 같은 자유 문서에서 가져왔다는 것을 보증해야 합니다.
저작권이 있는 내용을 허가 없이 저장하지 마세요!
취소
편집 도움말
(새 창에서 열림)
둘러보기 메뉴
개인 도구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계정 만들기
로그인
이름공간
문서
토론
한국어
보기
읽기
편집
원본 편집
역사 보기
더 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도구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특수 문서 목록
문서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