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 |  | = [[박희병 한국고전문학사 강의 세미나]] = | 
|  |   |  | <br> | 
|  | == 1. 문학사의 시대 구분 ==
 |  | 
|  | {|
 |  | 
|  | |삼국/신라시대
 |  | 
|  | |=>
 |  | 
|  | |고려시대
 |  | 
|  | |=>
 |  | 
|  | |조선시대
 |  | 
|  | |=>
 |  | 
|  | |일제 강점기
 |  | 
|  | |=>
 |  | 
|  | |남북 분단기
 |  | 
|  | |}
 |  | 
|  |   |  | 
|  | === 1) 왕조사 중심 ===
 |  | 
|  | {| class="wikitable"
 |  | 
|  | !장점
 |  | 
|  | !단점
 |  | 
|  | |-
 |  | 
|  | |문학 장르의 변화를 도시하기 쉽다
 |  | 
|  | |왕조 교체와 문학사적 전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 
|  | |-
 |  | 
|  | | -> 시가문학사: 향가를 신라에, 속요를 고려에, 시조/가사는 조선
 |  | 
|  | |예) 무신집권기, 임진왜란 등
 |  | 
|  | |-
 |  | 
|  | | -> 서사문학사: 설화를 신라에, 가전(假傳)을 고려에, 소설은 조선
 |  | 
|  | |구비문학사, 연희문학사를 다루기 쉽지 않음
 |  | 
|  | |}
 |  | 
|  |   |  | 
|  | =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
 |  | 
|  | = [[제3강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중세전기문학 제1기: 설화, 향가]] =
 |  | 
|  | = [[제4강 중세전기문학 제1기: 신라인이자 동아시아인 최치원]] =
 |  | 
|  | = [[제5강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1): 과거제 실시와 한문학]] =
 |  | 
|  | = [[제6강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기(1): 수이전]] =
 |  | 
|  | = [[제7강 중세전기문학 제2기 고려전기(1): 고려전기 문학담당층의 변화]] =
 |  | 
|  | = [[제8강 중세전기문학 제2기 고려전기(2): 삼국사기]] =
 |  | 
|  | = [[제9강 중세후기문학 제1기 고려후기: 문학론, 불교문학, 사람의 일생]] =
 |  | 
|  | = [[제10강 중세후기문학 제1기 고려후기: 문호 이규보]] =
 |  | 
|  | = [[제11강 중세후기문학 제1기 고려후기(2): 고려속요, 소악부, 경기체가]] =
 |  | 
|  | = [[제12강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 조선후기: 소설의 시대]] =
 |  | 
|  | = [[제13강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 조선후기: 조선후기 문학담당층의 확대]] =
 |  | 
|  | = [[제14강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제1기 조선후기: 한문단편과 담연그룹]]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