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강 문학사란 무엇인가: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잔글 (→문학사와 주체의 문제-하위 주체들) |
편집 요약 없음 |
||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2번째 줄: | 12번째 줄: | ||
</br></br> | </br></br> | ||
① 사회역사적 지평 | ① 사회역사적 지평 | ||
: 사회적(공간적 관련)/역사적(시간적 관련) | :* 사회적(공간적 관련)/역사적(시간적 관련) | ||
: 문학사 속의 인간은 특정한 시공간의 지평 속에 존재하고 있음. 따라서 문학사 속의 인간을 이해하려면 그가 속한 ‘시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 문학사 속의 인간은 특정한 시공간의 지평 속에 존재하고 있음. | ||
:* 따라서 문학사 속의 인간을 이해하려면 그가 속한 ‘시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 |||
② 집단적 지평 | ② 집단적 지평 | ||
: 모든 인간은 전부 어떠한 집단에 귀속되어 있는 존재. | :* 모든 인간은 전부 어떠한 집단에 귀속되어 있는 존재. | ||
:: ex) 신분, 계급, 계층, 당파, 동인 … | |||
:: -> 이러한 ‘지평’에 관한 인식이 없다면 문학사 속의 인간 이해가 모호하게 됨. | |||
③ 젠더적 지평 | ③ 젠더적 지평 | ||
: 인간은 ‘젠더적’으로 존재함. 젠더적 지평에서 인간을 고찰하지 않는다면 추상적 이해만 가능해지고, 그 실체가 왜곡되거나 은폐될 수밖에 없어짐. | :* 인간은 ‘젠더적’으로 존재함. 젠더적 지평에서 인간을 고찰하지 않는다면 추상적 이해만 가능해지고, 그 실체가 왜곡되거나 은폐될 수밖에 없어짐. | ||
※ 문학사는 이 세 가지 지평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과 정신과 삶의 과정을 추적해 나가는 것이 핵심 과제. | |||
=== 대서사로서의 문학사 === | === 대서사로서의 문학사 === | ||
34번째 줄: | 36번째 줄: | ||
=== 마음과 정신의 역사적 궤적으로서의 문학사 === | === 마음과 정신의 역사적 궤적으로서의 문학사 === | ||
문학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이 문제가 되며, 형식은 다시 장르와 연결됨. 중요한 것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에서도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담긴다는 사실임.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의 내용과 형식, 이 둘의 역사적 전개에서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면밀히 살펴야 함. | * 문학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이 문제가 되며, 형식은 다시 장르와 연결됨. | ||
* 중요한 것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에서도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담긴다는 사실임. | |||
*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의 내용과 형식, 이 둘의 역사적 전개에서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면밀히 살펴야 함. | |||
- 윤서 | |||
</br> | |||
<div style="text-align:right;">- 김윤서</div> |
2024년 5월 21일 (화) 18:25 기준 최신판
문학사 = 문학의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고전문학사에서 문학이란 근대문학에서 규정하는 문학의 의미와 크게 달라 여러 다양한 장르들이 문학으로 간주됨.
- ex) 비문(碑文), 편지, 논설, 변(㵷), 문답(問答), 행장(行狀), 전(傳))
- 고전문학에서는 근대문학과 달리 거의 모든 글쓰기가 문학에 포섭되며 구전문학까지도 문학으로 간주됨.
- -> 문화사, 지성사, 사상사, 예술사와 더 긴밀히 연결됨(고전문학사의 특수성, 이러한 경계를 넘나들며 문학사를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문학사에서 조망되는 인간-세가지 지평[편집 | 원본 편집]
문학사는 문학의 본령(인간)을 고려해서 인간 정신의 역사적 궤적을 추구하는 쪽으로 분석해야 함.
-> 그렇다면 문학사에서 생각하는 인간이란 어떤 존재인가?
문학사에서 인간은 크게 세가지 지평 속에서 구성될 수 있음.
① 사회역사적 지평
- 사회적(공간적 관련)/역사적(시간적 관련)
- 문학사 속의 인간은 특정한 시공간의 지평 속에 존재하고 있음.
- 따라서 문학사 속의 인간을 이해하려면 그가 속한 ‘시공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② 집단적 지평
- 모든 인간은 전부 어떠한 집단에 귀속되어 있는 존재.
- ex) 신분, 계급, 계층, 당파, 동인 …
- -> 이러한 ‘지평’에 관한 인식이 없다면 문학사 속의 인간 이해가 모호하게 됨.
③ 젠더적 지평
- 인간은 ‘젠더적’으로 존재함. 젠더적 지평에서 인간을 고찰하지 않는다면 추상적 이해만 가능해지고, 그 실체가 왜곡되거나 은폐될 수밖에 없어짐.
※ 문학사는 이 세 가지 지평 속에 존재하는 인간의 마음과 정신과 삶의 과정을 추적해 나가는 것이 핵심 과제.
대서사로서의 문학사[편집 | 원본 편집]
- 문학사는 크게 하나의 덩어리로 보면 그 전체가 하나의 대서사가 됨. 대서사는 사회역사적 지평, 집단적 지평, 젠더적 지평 속에서 이해될 수 있음. 그러므로 문학사가 문학의 주제와 형식의 역사적 전개에 관심을 둘 때 주제와 형식은 세 지평들의 맥락 속에서 조망되어야 함.
- 또, 대서사로서의 문학사에서는 어떤 사회적 ‘힘’이나 어떤 사회적. 문화적 지향들이 대립하거나 갈등을 일으키거나 서로 투쟁하거나 융합하거나 하는 등의 현상이 관찰됨. (-> 이는 공동체의 ‘안/밖’에 대한 인식 태도라든가, ‘나/타자’에 대한 인식 태도와 결부되기도 함.) 이 점을 읽어 내는 일이 아주 중요함.
문학사와 주체의 문제-하위 주체들[편집 | 원본 편집]
- 공동체의 안/밖, 나/타자에 대한 인식 태도는 ‘주체’의 문제로 귀결됨. 그러나 주체는 단일하지 않다. (상위/하위 주체) 상위 주체들은 쉽게 눈에 띄지만, 하위 주체들은 가시가 어렵기 때문에 하위 주체에 집중해야 함. ‘하위 주체’ 역시 단일하지는 않음. (ex) 여성 – 사대부 여성 / 기녀 / 궁녀 / 중인층 여성 …. )
- 문학사는 다양한 주체들이 빚어내는 정신적, 심미적 서사의 장임. 따라서 문학사는 그 전체로서 하나의 흥미로운 동태적 서사라고 말할 수 있다.
- 한국고전문학사에서 주체의 문제는 ‘표기 문자의 문제’와 관련되기도 함.
- 전근대 한국에서는 한자가 동아시아 공동 문자로서 사용되었는데, 이 때문에 이원적 문자 체계가 존재하게 됨.(국문 창제 이전에는 향찰/한자, 이후에는 국문/한자)
※ 조선 후기 문학에서 여성이 남성보다 국문을 더 많이 사용한 것은 표기 문자의 문제가 주체의 문제와 결부됨을 확인할 수 있는 단적인 예임.
마음과 정신의 역사적 궤적으로서의 문학사[편집 | 원본 편집]
- 문학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이 문제가 되며, 형식은 다시 장르와 연결됨.
- 중요한 것은 내용만이 아니라 형식에서도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담긴다는 사실임.
- 따라서 문학사는 문학의 내용과 형식, 이 둘의 역사적 전개에서 인간의 마음과 정신이 어떻게 구현되는가를 면밀히 살펴야 함.
- 윤서
- 김윤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