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문학사 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 | ===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 | ||
| <br>====1. 문학사의 시대 구분 ==== | |||
| {| | |||
| |+ 캡션 텍스트 | |||
| |- | |||
| | 삼국/신라시대 || => || 고려시대 || => || 조선시대 || => || 일제 강점기 || => || 남북 분단기 | |||
| |} | |||
| ===== 1) 왕조사 중심 ===== | |||
| {| class="wikitable" | |||
| |+ 캡션 텍스트 | |||
| |- | |||
| ! 장점 !! 단점 | |||
| |- | |||
| | 문학 장르의 변화를 도시하기 쉽다 || 왕조 교체와 문학사적 전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
| |- | |||
| | -> 시가문학사: 향가를 신라에, 속요를 고려에, 시조/가사는 조선 || 예) 무신집권기, 임진왜란 등 | |||
| |- | |||
| | -> 서사문학사: 설화를 신라에, 가전(假傳)을 고려에, 소설은 조선 || 구비문학사, 연희문학사를 다루기 쉽지 않음 | |||
| |} | |||
| ===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 | ===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 | ||
2023년 11월 17일 (금) 15:55 판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1. 문학사의 시대 구분 ====
| 삼국/신라시대 | => | 고려시대 | => | 조선시대 | => | 일제 강점기 | => | 남북 분단기 | 
1) 왕조사 중심
| 장점 | 단점 | 
|---|---|
| 문학 장르의 변화를 도시하기 쉽다 | 왕조 교체와 문학사적 전환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 
| -> 시가문학사: 향가를 신라에, 속요를 고려에, 시조/가사는 조선 | 예) 무신집권기, 임진왜란 등 | 
| -> 서사문학사: 설화를 신라에, 가전(假傳)을 고려에, 소설은 조선 | 구비문학사, 연희문학사를 다루기 쉽지 않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