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DHinDS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편집 | 원본 편집]

  • 『창선감의록』: 정치적인 대립, 가정 내 갈등, 애정 장애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작품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1. 역사상의 정치적 대립: 작품의 큰 배경을 이룸. 중국의 역사서 및 정치적 대립을 담은 ‘역사소설’이 영향을 미침.
  2. 복합적인 결연의 장애: 작품 내부. ‘재자가인소설’이 영향을 미침.
※ 인물 설정과 애정관계 형성, 정치적 대립과 가정 갈등 및 결연 장애를 연관 짓는 방식 등은 동시기 작품으로 추정되는 『구운몽』, 『남정기』와의 관계가 해명되어야 할 것.

역사의 허구화[편집 | 원본 편집]

조선 후기 소설을 논할 때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역사 허구와’의 문제임. 장편소설의 대다수는 중국의 실제 역사를 작품의 배경으로 삼아 서사 전개의 토대를 마련함.

  • 『구운몽』은 당대 현종 이후의 언젠가를 배경으로 삼고 있기는 하나 작품의 시대적 배경과 서사 전개 사이의 관계는 느슨함.
  • 『소현성록』은 역사상의 실존 인물이 주변 인물로 등장하고 드물게나마 역사적 사건이 서사 전개와 맞물리기도 하여 어느 정도의 연관을 맺고 있음.
  • 『창선감의록』은 역사상의 실제 인물이 주인공의 주변 인물로 대거 등장하여 작품의 서사 전개와 실제 역사적 배경이 대단히 밀접한 관련을 가짐.

후대의 장편소설은 정도의 차이가 있으나 대개 『창선감의록』이 역사상의 한 시기를 작품 배경으로 설정하고 허구적 인물의 활동 반경에 실존 인물과 실제 사건을 적절히 포치하는 방식을 채택함. 이는 『창선감의록』의 ‘역사 허구화’가 장편소설의 형성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님을 나타냄.


연의소설(= 정사의 의미를 부연하여 만든 소설; 일종의 역사소설)

※역사적 실존 인물을 내세워 충신과 간신의 정치적 대립을 다룬 정치소설도 역사소설의 범주에서 논의해야 함. 정치소설도 실제 역사적 사건에 기반하여 연대기적 서술 방식을 따르되 주요 등장인물에 허구적 성격을 부여하여 ‘허구화된 역사’를 만들어내기 때문임.


신생 형식은 기존 형식의 권위를 빌려 존재 가치를 드러내고자 하는 속성을 지님.(ex. 단편소설이 정통 문체인 ‘전’이나 ‘기’를 표방)

→ 장편소설은 단편소설의 좁은 편폭과 ‘일면성’에 대한 반발로 출현한 형식.

→ ‘전면적 진실’을 포착하기 위해서는 장구한 서사 시간과 다수의 등장인물이 필수적임.

→ 서사의 시공간을 충분히 확대하고 다양한 인간군상을 그려낸 형식은 역사서가 유일함. 역사서는 ‘전면적 진실성’에 가장 근접해 있는 권위 있는 기록물임.

⇒ 장편소설이 역사를 배경으로 삼음.

『창선감의록』과 연의소설 비교
『창선감의록』 연의소설
공통점
  • 역사적 실존 인물이 대거 등장함
  • 연대기적 기술 방식을 이용하여 정교한 ‘허구적 역사’를 만듦.
역사적 실존 인물이 조역. 주역에 해당하는 인물은 모두 허구적 존재이되 역사상 유명 인물의 후예 역사적 실존 인물이 주역.
차이점 역사적 시공간을 무대로 하되 실제의 역사 전개는 배경을 이루면서 대부분의 서사 내용은 순전한 허구로 짜임. 주역을 맡은 실존 인물에 대해 작자가 나름의 해석을 가하여 성격을 부여함.

실제의 역사 전개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허구를 가미함.

연의소설과 허구의 중간 지점(허구성이 한층 강화됨) 역사와 허구의 중간 지점


연대기적 서술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긴 하지만 서술하는 방식에서도 『창선감의록』과 연의소설은 차이를 보임.

『창선감의록』 작품 서두의 인물 소개 대목에서 명나라 연호로 연대를 표시한 대목은 전대 역사소설의 방식을 그대로 따른 예에 해당함.

그러나 주요 사건을 전개하기 전에 등장인물의 나이를 통해 연대를 알려주는 방식은 「숙향전」 이래 국문소설에서 상용하던 수법임. 『창선감의록』이 이러한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지만, 운용 방식은 국문소설처럼 단순하지 않음.

실제의 ‘역사적 시간’과 허구적 존재인 주인공 ‘개인의 시간’을 정교하게 결합함. ⇒ 허구적 인물이 실제 시공간에서 살아가는 것 같은 효과를 창출함.

『창선감의록』은 허구적인 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기존의 역사소설을 더욱 허구화하고, 그 허구성을 상쇄하기 위해 작품 전체를 정교한 시간축 위에 구축함.


재자가인소설과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

'예언구도'와 숙명론의 연원[편집 | 원본 편집]

『구운몽』·『남정기』와의 관계[편집 | 원본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