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전소설 디지털 모델링
1. 어디까지 와 있는가
○ 데이터 모델링이란?
⸰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화하고, 조직하는 것
⸰ 정보의 수집과 관리 시스템을 정의하는 시각적 표현 또는 청사진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 데이터 흐름을 도식화하는 과정
⸰ 데이터 형식, 구조, 데이터베이스 처리 기능의 특징을 정의하는 다이어그램 등
① 개념적 데이터 모델: 개체 간의 관계/Entity Relationship Diagram
↓
② 논리적 데이터 모델: 테이블과 속성
↓
③ 물리적 데이터 모델: 디지털/데이터베이스
1) 목록 혹은 사전
⸰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1999), 고전소설 문헌정보(2000), 고전소설 작품연구 총람(2000), 고전소설 줄거리 집성(2002), 고전소설 연구보정(2016), 한국 고전소설 등장인물 사전/주석집(2012), 한국 고전소설사 큰사전(2017)
⸰ 무악고소설자료연구회, 한국고소설관련자료집Ⅰ⸰Ⅱ
2) 개인 연구
① 강우규⸱김바로(2018), <소현성록> 연작에 나타난 감정의 출현 빈도와 의미-컴퓨터를 활용한 통계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온지논총 56.
② 강우규⸱김바로(2018), 인공지능을 활용한 <소현성록> 연작의 감정 연구, 문화와 융합 40-4.
③ 강우규⸱김바로(2019), 디지털 맵핑(Mapping)을 통한 <구운몽> 연구 및 교육적 활용, 열상고전연구 69.
④ 강우규⸱김바로(2019), 고전소설에 대한 디지털 감정 분석방법론 탐색-<구운몽>을 대상으로-, 동아시아고대학 56.
⑤ 김나영(2020), 고전서사 연구에서 연결성에 대한 논의의 현단계-고전소설의 디지털 인문학적 연구 사례 검토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 42(성신여대).
⑥ 강우규⸱김바로(2020), 딥러닝을 활용한 경판 방각본 소설의 유형 고찰-영웅소설과 애정소설 유형을 중심으로-0, 국제어문 84.
⑦ 강우규⸱이기성(2021), 고전소설 연구 경향 고찰을 위한 디지털 분석방법론 탐색-‘춘향 서사’를 중심으로-, 국제어문 90.
⑧ 강우규(2022), 국문장편소설의 디지털 큐레이션 방안 고찰-디지털 감정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45.
⑨ 강우규(2022), 딥러닝 분석을 통한 영웅소설의 유형론 재고찰, 우리문학연구 75.
⑩ 강우규(2022), 디지털 분석기법을 활용한 古典小說의 異本 연구-『홍길동전』을 對象으로-, 어문연구 50-4.
⑪ 양승목⸱류인태(2022), 야담의 데이터, 야담으로부터의 데이터: 한국 야담 데이터 모델의 구상, 한국문학연구 68.
⑫ 유인선⸱김현태(2022), Created era estimation of old Korean documents via deep neural network, Heritage Science (2022) 10:144.
⑬ 이승은(2023), 고전문학 관련 디지털 인문학 연구의 현황과 미래, 고전과 해석 39.
⸰ 감정 분석
⸰ 디지털 맵핑
⸰ 서사 분석: 연결성-서사(단위담?)
⸰ 디지털 큐레이션
⸰ 이본 연구 등
2. 어디로 갈 것인가
⸰ AI 혹은 Chat GPT가 작품을 분석(주제/플롯 등)할 수 있는가.
⸰ 왜 감정 분석(Robert Plutchik's Wheel of Emotions)을 먼저 하는가.
⸰ 언어학적 접근: 그중에서도 ‘의미론’ 중심
⸰ 어휘 빈도 분석 / 키워드-공기어(共起語) 분석 / 토픽 모델링 / 감정 분석 / 워드-임베딩 혹은 워드-벡터 모델
1) 도구적 디지털: 인문학을 목적으로, 디지털을 방법으로
2) 도구적 인문학: 디지털을 목적으로, 인문학을 방법으로
○ 디지털로 소설 읽기?/tagging?/어떻게 읽을 것인가/학습시킬 것인가
① 유형: 전기소설/몽유소설/영웅소설/한글장편소설/가정소설/판소리계 소설/야담계 소설 등
② 구조: 사건(중심사건/주변사건), 인물(+관계), 배경(시/공간, 역사/허구), 행동, 과정, 상태
③ 주제: 보편 주제 / 특수 주제
④ 인물: 역사적 인물 / 허구적 인물 / 인물(Character)- 명명법 / 인물 관계 / (인물의) 행위: 동적 서사 / (인물의/상태의) 묘사⸰형용: 정적 서사
⑤ 플롯: 파블라 / 수제트
⑥ 문체: 작품의 문체 / 작품 속 문체
⑦ 작가: 기명 / 익명 / 젠더
⑧ 독자: 젠더 / 계층 / 연령
⑩ 화자/시점/초점(화) 등
○ 한문(창작) → 옛한글(번역) → 한문현토(번안)
서유영, 『육미당기』(1863) | 최연택, 『김태자전』(1914) | 이보상, 『일당육미』(1937) |
我東自檀君開國以來, 至箕子東來都平壤, 始擅文敎, 用夷變夏. 傳至箕準, 爲燕人衛滿所據, 遂奔金馬郡, 是爲馬韓. 其後, 新羅赫居世立國辰韓之地, 時則有高句麗·百濟, 各據一隅, 號爲三國. 獨新羅朴·昔·金三姓相傳爲君, 賢聖繼作, 人材輩出. 至唐顯慶年間, 高宗皇帝遣大將李世績·蘇定方等, 次弟削平高句麗·百濟, 分爲郡縣. 自此, 新羅傳一統之業, 無隣境侵伐之患, 國家安樂太平無事. | 화셜. 즁고젹에 신라 시죠 혁거셰가 나라ᄅᆞᆯ 진한(辰韓) ᄯᅡ에 셰우고 ᄯᅩᄒᆞᆫ 고구러 ᄇᆡᆨ졔 두 나라이 각각 한 디방을 ᄎᆞ지ᄒᆞ니, 그ᄯᅢ의 죠션은 소위 삼국시ᄃᆡ라. 그 즁 신라ᄂᆞᆫ 박셕금삼셩(朴石金三姓)이 셔로 젼ᄒᆞ야 임군이 됨ᄋᆡ, 어진 임군이 이어나고 죠뎡에 인ᄌᆡ가 만히 잇셔, 필경 고려와 ᄇᆡᆨ졔ᄅᆞᆯ 통일ᄒᆞ니, 나라이 ᄐᆡ평ᄒᆞ고 ᄉᆞ방에 아모 일이 업더라 | 新羅者는 海東君子之國也라 其始祖ㅣ 立國於辰韓地하야 與百濟, 高句麗로 連疆接壤하야 共稱三國時代라 自赫居世以來로 朴石金三姓이 共傳爲國호대 皆有仁政하야 愛民以德하고 治國以禮하야 俊爻在廷하고 惠讓爲俗터니 傳至數十世에 百濟, 高句麗가 皆入版圖하야 爲海東大邦하니 民唱擊壤하고 化至熙皥하며 更兼歷代嗣王이 謹守祖訓하고 敬賢愛民하야 年穀豊登하고 八域寧謐하야 世稱謂東方君子之域이러니 |
3. Quo Vadis Domine?
1) 한국고전서사 데이터 모델링
2) 통합적 디지털 한국어문학
3) 디지털 인문학(한국어문학)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