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청구야담(버클리대본) 목차==
 |  | = 청구야담(버클리대본) 목차 = | 
|  | 
 |  | 
 | 
|  | === 권1 === |  | === [[청구야담 권1]] === | 
|  | {| class="wikitable"
 |  |   | 
|  | |No
 |  | === [[청구야담 권2]] === | 
|  | |순차
 |  |   | 
|  | |제목
 |  | === [[청구야담 권3]] === | 
|  | |국역
 |  |   | 
|  | |-
 |  | === [[청구야담 권4]] === | 
|  | |1
 |  |   | 
|  | |1
 |  | === [[청구야담 권5]] === | 
|  | |償宿恩歲送衣資
 |  |   | 
|  | |오래된 은혜를 갚고 해마다 옷가지를  보내다
 |  | === [[청구야담 권6]] === | 
|  | |-
 |  |   | 
|  | |2
 |  | === [[청구야담 권7]] === | 
|  | |2
 |  |   | 
|  | |撤淫祠火燒錦緞
 |  | === [[청구야담 권8]] === | 
|  | |음사를 철거하고 비단을 불태우다
 |  |   | 
|  | |-
 |  | === [[청구야담 권9]] === | 
|  | |3
 |  |   | 
|  | |3
 |  | === [[청구야담 권10]] === | 
|  | |鎖陰囊西伯弄舊友
 |  |   | 
|  | |음낭에 자물쇠를 채워 친구를 희롱한  평안감사
 |  | === [[청구야담 보유]] === | 
|  | |-
 |  | 
|  | |4
 |  | 
|  | |4
 |  | 
|  | |裹蒸豚中夜訪神交
 |  | 
|  | |한밤에 삶은 돼지를 싸서친구 집을  찾아가다
 |  | 
|  | |-
 |  | 
|  | |5
 |  | 
|  | |5
 |  | 
|  | |義男臨水喚兪鐵
 |  | 
|  | |의남이 물가에서 유철을 부르다
 |  | 
|  | |-
 |  | 
|  | |6
 |  | 
|  | |6
 |  | 
|  | |老媼慮患納小室
 |  | 
|  | |할미가 환란을 염려하여 손녀를 소실로  바치다
 |  | 
|  | |-
 |  | 
|  | |7
 |  | 
|  | |7
 |  | 
|  | |夢黃龍至誠發宵寐
 |  | 
|  | |황룡 꿈을 꾸려고 지성으로 잠을 자다
 |  | 
|  | |-
 |  | 
|  | |8
 |  | 
|  | |8
 |  | 
|  | |誦斯干雄講動天聽
 |  | 
|  | |사간장을 잘 외워 임금을 감동시키다
 |  | 
|  | |-
 |  | 
|  | |9
 |  | 
|  | |9
 |  | 
|  | |洪尙書受挺免刀
 |  | 
|  | |아낙의 매를 맞고 생명을 건진 홍우원
 |  | 
|  | |-
 |  | 
|  | |10
 |  | 
|  | |10
 |  | 
|  | |呂繡衣移花接木
 |  | 
|  | |암행어사 여동식이 꽃을 옮겨 접목하다
 |  | 
|  | |-
 |  | 
|  | |11
 |  | 
|  | |11
 |  | 
|  | |訪名卜寃獄得伸
 |  | 
|  | |이름난 점쟁이에게 물어 억울한 옥살이를  면하게 하다
 |  | 
|  | |-
 |  | 
|  | |12
 |  | 
|  | |12
 |  | 
|  | |誇丈夫西貨滿駄
 |  | 
|  | |서도 재물을 많이 실어보내 대장부임을  과시하다
 |  | 
|  | |-
 |  | 
|  | |13
 |  | 
|  | |13
 |  | 
|  | |占吉地魚遊石函
 |  | 
|  | |길지로 정한 땅 석함 속에서 고기가  헤엄치다
 |  | 
|  | |-
 |  | 
|  | |14
 |  | 
|  | |14
 |  | 
|  | |現宵夢龍滿裳幅
 |  | 
|  | |꿈에 용이 나타나 치마폭을 가득 채우다
 |  | 
|  | |-
 |  | 
|  | |15
 |  | 
|  | |15
 |  | 
|  | |復主讐忠婢托錦湖
 |  | 
|  | |충성스러운 여종이 임형수에게 부탁하여  주인 원수를 갚다
 |  | 
|  | |-
 |  | 
|  | |16
 |  | 
|  | |16
 |  | 
|  | |驗異夢西伯識前身
 |  | 
|  | |평안감사가 꿈을 통해 자기 전생을 알다
 |  | 
|  | |-
 |  | 
|  | |17
 |  | 
|  | |17
 |  | 
|  | |料倭寇麻衣明見
 |  | 
|  | |베옷 입은 노인의 임진왜란 예언
 |  | 
|  | |-
 |  | 
|  | |18
 |  | 
|  | |18
 |  | 
|  | |葬三屍湖武陰德
 |  | 
|  | |호남 무변이 세 시신 장례 지내주는  음덕을 베풀다
 |  | 
|  | |-
 |  | 
|  | |19
 |  | 
|  | |19
 |  | 
|  | |立墓石工匠感孝婦
 |  | 
|  | |효부에 감동한 장인이 묘석을 세워주다
 |  | 
|  | |-
 |  | 
|  | |20
 |  | 
|  | |20
 |  | 
|  | |定佳城地師聽痴僮
 |  | 
|  | |지사가 어리석은 아이 말을 듣고 명당을  정하다
 |  | 
|  | |-
 |  | 
|  | |21
 |  | 
|  | |21
 |  | 
|  | |諭義理羣盜化良民
 |  | 
|  | |의리를 말하여 도적떼를 양민으로 만들다
 |  | 
|  | |-
 |  | 
|  | |22
 |  | 
|  | |22
 |  | 
|  | |語消長偸兒說富客
 |  | 
|  | |도둑이 부자에게 소멸과 생장의 원리를  설교하다
 |  | 
|  | |-
 |  | 
|  | |23
 |  | 
|  | |23
 |  | 
|  | |過南漢預算虜兵
 |  | 
|  | |남한산성을 지나면서 오랑캐의 침략을  예언하다
 |  | 
|  | |-
 |  | 
|  | |24
 |  | 
|  | |24
 |  | 
|  | |宰錦城杖殺金漢
 |  | 
|  | |금성 원이 되어 김가를 때려죽이다
 |  | 
|  | |-
 |  | 
|  | |25
 |  | 
|  | |25
 |  | 
|  | |窮儒詭計得科宦
 |  | 
|  | |가난한 선비가 속임수로 벼슬을 얻다
 |  | 
|  | |-
 |  | 
|  | |26
 |  | 
|  | |26
 |  | 
|  | |呂相托辭登大闡
 |  | 
|  | |기생의 편지 덕에 장원급제한 여정승
 |  | 
|  | |}
 |  | 
|  | </br>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