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HinD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6월 11일 (화) 12:31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 |1 |償宿恩歲送衣資 |오래된 은혜를 갚고 해마다 옷가지를 보내다 |- |2 |2 |撤淫祠火燒錦緞 |음사를 철거하고 비단을 불태우다 |- |3 |3 |鎖陰囊西伯弄舊友 |음낭에 자물쇠를 채워 친구를 희롱한 평안감사 |- |4 |4 |裹蒸豚中夜訪神交 |한밤에 삶은 돼지를 싸서친구 집을 찾아가다 |- |5 |5 |義男臨水喚兪鐵 |의남이 물가에서 유철...)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16 Ishrek 토론 기여님이 권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 |1 |償宿恩歲送衣資 |오래된 은혜를 갚고 해마다 옷가지를 보내다 |- |2 |2 |撤淫祠火燒錦緞 |음사를 철거하고 비단을 불태우다 |- |3 |3 |鎖陰囊西伯弄舊友 |음낭에 자물쇠를 채워 친구를 희롱한 평안감사 |- |4 |4 |裹蒸豚中夜訪神交 |한밤에 삶은 돼지를 싸서친구 집을 찾아가다 |- |5 |5 |義男臨水喚兪鐵 |의남이 물가에서 유철...)
- 2024년 6월 4일 (화) 17:59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1강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판소리는 언제, 왜 발생했나 === 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소리꾼)가 한 명의 고수(북치는 사람)의 북장단에 맞추어 이야기를 창과 아니리로 엮어 연극적으로 공연하는 구전 서사시에 해당함. 구전서사시는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한국의 구전 서사시는 문학, 음악, 연극이 결합되어 있는 종합 예술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면모를 지님. 영조 30년(1754)에 유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4일 (화) 17:47 203.252.223.253 토론님이 3장 '문제적 개인'의 등장과 새로운 전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 역사 속의 인간 운명 2) 새로운 시대정신)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8:18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0.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7세기 전반의 한국 고전소설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상흔 속에서 시작됨.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쟁을 보는 시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뉨. 1. 전쟁의 시대에 던져진 인간 존재에 대한 고민이나 세계에 대한 환멸을 작품 저변에 둠 <nowiki>:</nowiki> 애정 전기류 <주생전>, <운영전>, <최척전> / 신선전의 영향을 수용한 전계소설 <남궁선생전>, <장생전> 2.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7:48 203.252.223.253 토론님이 1. 인간 실존의 형식: 환멸과 초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2.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 17세기 전반의 한국 고전소설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상흔 속에서 시작됨.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쟁을 보는 시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뉨. 1. 전쟁의 시대에 던져진 인간 존재에 대한 고민이나 세계에 대한 환멸을 작품 저변에 둠 <nowiki>:</nowiki> 애정 전기류 <주생전>, <운영전>, <최척전> / 신선전의 영향을 수용한 전계소설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6:26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2. 현실 비판의 형식: 희망 없는 비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몽유록 - 두 차례의 큰 전쟁을 치른 뒤 전쟁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작가들이 재발견한 형식 중 하나 - '꿈에 노닌 기록'인 몽유록은 전기소설의 진화 과정에서 파생된 독특한 소설 형식 - 김시습의 「남염부주지」, 「조신전」이 형식적 연원 - 이를 확장하여 전쟁 체험을 직접적으로 토로하고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포폄과 의론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02:05 122.34.63.24 토론님이 2장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 인간 실존의 형식: 환멸과 초월 === === 2. 현실 비판의 형식: 희망 없는 비판 === === 3. 현실 극복의 형식: 정신승리법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8:18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장 전쟁과 사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17세기 동아시아 격변기를 집약한 역사적 사건. 임진왜란은 1592년 4월 13일 왜군의 침략으로 시작되어 1598년 11월 19일 왜군의 철수까지, 6년 8개월 동안 벌어진 전쟁임. 일본의 군대는 100년 가까이 벌어진 내전으로 축적된 전쟁 경험과 조총으로 대표되는 화력을 가지고 있어 전쟁 초기에는 승승장구함. 이 초기 전쟁의 분수령은 '달천 전투'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8:18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8강 국문소설 및 장편소설의 형성과 전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조선 후기 소설을 보는 시각 -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 17세기 이전에는 국문소설이나 장편소설이 창작된 적이 없음, 우리 문학사에서 국문소설 및 장편소설의 창작이 이루어진 것은 17세기. 다만 16세기에 국문소설이 창작되지는 않았어도 채수의 <설공찬전>과 같이 국문으로 변역되어 유포된 소설은 존재하였음. 완전히 국문으로 창작된 소설은 17세기에 처음...)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3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2부 이념의 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장 사회 재편의 두 갈래 길과 소설의 재발견 2장 사대부 중심의 통합 논리 3장 배타적인 사족중심주의 4장 선민의식과 가문중심주의)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2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부 전쟁의 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장 전쟁과 사회 2장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3장 '문제적 개인'의 등장과 새로운 전망)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0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한국 소설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부 전쟁의 시대 2부 이념의 시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7일 (화) 17:54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7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7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 == === 두 번의 큰 전쟁 === 1592년 4월~1598년 11월까지를 임진왜란이라 함. 임진왜란으로 명은 국력이 급격히 쇠약해졌지만, 만주의 누르하치는 여진족을 통일해 세력을 확장하고 1616년 후금이라는 나라를 세우게 됨. 이후 1627년 후금은 조선을 침략하고 (정묘호란), 1636년 다시 조선을 침입함. (병자호란) 임진왜란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16일 (화) 17:52 203.252.223.253 토론님이 『구운몽』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 구운몽의 형성경로 === <구운몽>의 형성경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함, * 환몽구조: 작품을 감싸고 전체적으로 구조적 완결성 부여 * 편력구조: 액자 내부 서사의 주요 골격을 이룸 * 전기소설의 전통: 액자 내부의 하위 서사에 뼈대와 살을 제공. -> 전기소설의 전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전기소설 전통의 변용] === 구운몽은 전기소설을 중심...)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12일 (금) 04:06 122.34.63.24 토론님이 제14강 국문시가와 우리말 표현의 경계 - 정철, 박인로, 윤선도의 시조와 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제14강 국문시가와 우리말 표현의 경계 - 정철, 박인로, 윤선도의 시조와 가사 = 조선이 건국된 지 50여년 후 훈민정음이 창제됨으로써 우리 문학사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됨. 이전에는 차자 표기법을 사용했으나, 사용법에 제약이 많고 궁색하였음. 고려시대로 들어와서는 향찰표기가 쇠퇴하고 한자, 한문 표기가 주가 되었음. 이로 인해 토풍이 위축되고 화풍...)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5일 (금) 03:34 122.34.63.24 토론님이 제13강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문학적 대응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세조의 왕위 찬탈 === 1453년(계유년, 단종 원년) 10월,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 원로대신 수십명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음. 계유정난이라는 명칭: 정난(靖難)은 변란을 평정했다는 뜻, 수양대군은 얀평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과 모의해 왕위를 찬탈하려 했고, 이를 평정했다고 주장, 즉, 계유정난은 수양대군 측의 용어인 것. 이 사건으로 정인지, 신숙주, 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9일 (금) 03:20 122.34.63.24 토론님이 제10강 우리말 사랑의 노래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0강 우리말 사랑의 노래들 == 고려속요 대부분은 사랑을 노래하고 있음. 고려속요의 사랑에는 남녀간의 사랑, 임금에 대한 사랑, 부모에 대한 사랑 등이 있음. 고려 속요는 사랑을 노래하는 방식이 다양함을 보여줌. 대부분은 사랑의 노래지만, <청산별곡>처럼 사랑의 노래가 아닌 것도 존재함. === 고려속요/속악가사라는 용어 === ‘속요(俗謠)’라는 말에서 ‘속...)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9일 (금) 01:30 122.34.63.24 토론님이 제9강 삼국 다시 읽기와 토풍의 소환―『삼국유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9강 삼국 다시 읽기와 토풍의 소환 -<삼국유사> ==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130년 후에 승려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함. 일연은 대몽항쟁기를 살았던 사람으로, <삼국유사> 속에는 민족적 위기에 대한 일연 나름대로의 문제의식이 담겨 있음. 일연은 김부식과는 다른 관점으로 ‘삼국 다시 읽기’ 함으로써 민족적 주체성을 이끌어 내고 있음. <삼국유사>는 한문...)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3일 (토) 09:50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창선감의록』: 정치적인 대립, 가정 내 갈등, 애정 장애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작품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역사상의 정치적 대립: 작품의 큰 배경을 이룸. 중국의 역사서 및 정치적 대립을 담은 ‘역사소설’이 영향을 미침. #복합적인 결연의 장애: 작품 내부. ‘재자가인소설’이 영향을 미침. :※ 인물 설정과 애정관계 형성, 정치적 대...)
- 2024년 3월 19일 (화) 03:35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고전장편소설 형성의 의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장편소설 형식의 성립 #소설과 '지배 이념'의 결합)
- 2024년 3월 19일 (화) 03:35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장편소설의 장편화 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운몽』의 장편화 방법 #『창선감의록』의 장편화 방법 #『소현성록』의 장편화 방법)
- 2024년 3월 19일 (화) 03:33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장편소설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운몽』의 형성 경로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소현성록』의 형성 경로)
- 2024년 3월 15일 (금) 03:14 122.34.63.24 토론님이 제6강 고려 전기의 토풍과 화풍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6강: 고려 전기의 토풍과 화풍 === [토풍과 화풍이란] === 신라 말기 최치원에게서 문제가 되었던 동아시적 보편성은 고려 왕조가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문제가 됨. 그리하여 고려 전기 문학사는 중국에 의해 마련된 동아시적 보편성을 공유하되 자국의 주체성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가하는 이중의 과제에 직면하게 됨. * 토풍: 우리나라의 고유한 풍속, 의례, 제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15일 (금) 01:08 122.34.63.24 토론님이 제5강 나말여초 소설의 성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5강: 나말여초 소설의 성립 * 나말여초(羅末麗初): 신라 말 고려 초, 역사 전환기로써 상층과 하층의 세계관이 활발하게 섞이고 교섭을 이룸. 이러한 시기적 특징이 소설 발생 및 형성의 언어적, 문화적 기초를 이룸. === 소설의 장르적 본령 === 소설 발생 이전 서사문학: 설화와 전(傳)이 서사문학의 전부였음. * 설화: 구전문학, 사실과 허구가 교직되기도 하지만 본...)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13일 (수) 01:25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사화경제사적 배경: 독자층 형성의 토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장편소설 성립 이전의 독자''' ===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전반의 조선 사회에서 장편소설이 널리 읽혔다는 것에 의문을 제기함. 장편소설을 읽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교양과 기본적인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필요하기 때문임. 장편소설이 등장하기 이전 단계에 해당하는 전기소설 중심의 소설사에서는 이러한 의문이 불필요함. 전기소설의 작자와 독자는 대부...)
- 2024년 3월 12일 (화) 23:35 122.34.63.24 토론님이 소설 인식의 전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설 인식의 전환] 전근대 시기 동아시아에서 문하의 주류는 한문으로 이루어진 시와 문, ‘소설’은 문학의 변방에 자리했음.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까지는 ‘소설’의 범주 자체도 불분명했음. 이 시기의 소설은 서사물과 단편적인 기사를 포괄하여 가리키는 것으로 보임. 예) 16세기 어숙권: 시화잡록, 골계전, 소화집, 기행문, 지리지 등을 모두 ‘소설’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12일 (화) 23:34 122.34.63.24 토론님이 17세기 장편소설의 형성 배경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소설 인식의 전환 # 사화경제사적 배경: 독자층 형성의 토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12일 (화) 23:30 122.34.63.24 토론님이 한국고전장편소설의 형성 과정 발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빈 문서를 만듦)
- 2024년 3월 8일 (금) 18:36 Ishrek 토론 기여님이 토론:제1강 문학사란 무엇인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편집과 관련하여: 새 문단) 태그: 새 주제
- 2024년 3월 8일 (금) 11:29 Lpdj200619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4년 3월 8일 (금) 11:27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3강 향가, 그 서정의 깊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 향가 이전의 옛 노래들 향가 이전에도 노래는 많이 존재했으나 「정읍」을 제외하고는 노랫말이 전해지지 않음. 제목만 전해지는 노래(「내원성」, 「연양」, 「선운산」, 「무등산」, 「방등산」, 「지리산」 등 『고려사』 「악지」 「삼국속악」 조)는 고구려와 백제의 궁중 음악이었기 때문에 제목이라도 현전하는 것임. 민간에서 불린 수많은 노래들은 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8일 (금) 10:35 김윤서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4년 3월 8일 (금) 10:34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강 건국신화와 광개토왕비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 colspan="2" |2강 건국신화와 광개토왕 비문 | | |- |34~35 |<구전문학인 우리나라 건국신화> 신화는 신성성을 본질로 삼는 이야기. 신화의 주인공은 신이거나 신의 후예로서 비범한 자질을 지닌 인간. 이러한 점에서 신화는 세속적 서사인 전설이나 민담과 구분됨. ‘건국신화’: 국가를 창건한 시조 왕의 유래나 생애에 대한 이야기. (ex) 고조선-단군신화...)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8일 (금) 10:33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강 문학사란 무엇인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 colspan="7" |1강~2강 | colspan="2" | |- |윤서🐼 |발제보충자 이름 및 학번 | colspan="5" |동주 (=^・ω・^=) | colspan="2" | |- | colspan="3" |발제 |p. | colspan="4" |발제보충문 | |- | colspan="5" |1강 문학사란 무엇인가? |- | colspan="3" |문학사 = 문학의 역사, 고전문학사에서 문학이란 근대문학에서 규정하는 문학의 의미와 크게 달라 여러 다양한 장르들이 문학으로 간주됨.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8일 (금) 10:31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고전문학사 강의 세미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제1강 문학사란 무엇인가 제2강 건국신화와 광개토왕비문)
- 2024년 3월 8일 (금) 10:26 Ishrek 토론 기여님이 박희병 한국고전문학사 강의 세미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제1장 문학사란 무엇인가 ** 제2장 건국신화와 광개토왕비문)
- 2023년 11월 17일 (금) 16:03 Ishrek 토론 기여님이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문서를 삭제했습니다 (내용: "== 상고-고대의 문학사 ==". 유일한 편집자는 "Ishrek" (토론))
- 2023년 11월 17일 (금) 16:01 Ishrek 토론 기여님이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상고-고대의 문학사 ==)
- 2023년 11월 16일 (목) 17:41 Ishrek 토론 기여님이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 문학사의 시대 구분 === === 2. 문학사 서술의 사례 === === 3. 문학사 인식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 ===)
- 2023년 11월 16일 (목) 00:22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고전문학사 연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국고전문학사의 작가와 작품을 타임라인으로 정리합니다. * 연구방법 * 온톨로지 * 관계 * 속성 * 시각화)
- 2023년 11월 16일 (목) 00:21 Ishrek 토론 기여님이 2024학년도 1학기 고전문학사 과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고전문학사에서 발견한 작가와 작품에 대한 위키 페이지를 만드시오.)
- 2023년 11월 16일 (목) 00:15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고전문학사 강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제1강 한국고전문학사의 구도와 시각 그리고 현재적 과제 === 1. 문학사의 시대 구분<br> 2. 문학사 서술의 사례<br> 3. 문학사 인식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br> === 제2강 한국 문화의 고유성 === === 제3강 고대에서 중세로의 이행기-중세전기문학 제1기: 설화, 향가 === === 제4강 중세전기문학 제1기: 신라인이자 동아시아인 최치원 === === 제5강 중세전기문학 제2기-고려전...)
- 2023년 11월 15일 (수) 23:55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야담 디지털 모델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인물(Person/Character) == == 사건(Event) == == 배경(Time/Place) ==)
- 2023년 11월 15일 (수) 16:17 Ishrek 토론 기여님이 2024학년도 1학기 고전문학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한국고전문학사에서 발견한 주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위키 페이지를 생성합니다. ===)
- 2023년 11월 15일 (수) 10:35 Ishrek 토론 기여님이 위키 문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위키 문법 참조)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01:20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고전문학사 위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한국고전문학사 제1강 1.'''문학사의 시대 구분''' 2.'''문학사 서술의 사례''' 3.'''문학사 인식을 위한 앞으로의 과제''')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01:17 Ishrek 토론 기여님이 한국고전소설 디지털 모델링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 어디까지 와 있는가''' ○ 데이터 모델링이란? ⸰ 데이터를 정의하고, 구조화하고, 조직하는 것 ⸰ 정보의 수집과 관리 시스템을 정의하는 시각적 표현 또는 청사진을 생성하는 프로세스 ⸰ 데이터 흐름을 도식화하는 과정 ⸰ 데이터 형식, 구조, 데이터베이스 처리 기능의 특징을 정의하는 다이어그램 등 ① 개념적 데이터 모델: 개체 간의 관계/'''E'''ntity '''...) 태그: 시각 편집
- 2023년 11월 15일 (수) 01:13 Ishrek 토론 기여님이 DHinDS:소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덕성여자대학교 디지털인문학 연구실 위키 페이지입니다.)
- 2023년 11월 14일 (화) 22:28 MediaWiki default 토론 기여님이 대문 문서를 만들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