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공개 기록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DHinDS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든 기록이 표시됩니다. 기록 종류나 사용자 이름(대소문자 구별) 또는 영향을 받는 문서(대소문자 구별)를 선택하여 범위를 좁혀서 살펴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12월 17일 (화) 18:27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5강 해동도가와 새로운 질서 모색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사상사에서 본 16세기 16세기는 여러 차례의 사화가 일어나 선비들이 벼슬을 포기하고 산야에서 성리학 연구에 잠심하는 경우가 많았음. (ex) 이황, 서경덕, 조식 등) -> 이를 통해 조선 성리학이 심화, 발전됨. 한편 어떤 선비들은 현실에 불만을 품어 도가로 들어가기도 하였고, 이로 인해 ‘선풍’이 대두됨. 이때의 도가는 노장사상이 아닌 해동도가. 해동돠는 새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12월 3일 (화) 14:47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1강 고려 말 신흥사대부층의 형성과 그 문학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4세기 신흥사대부층의 등장 === 고려 전기는 문벌 귀족이 주도한 사회였음. 이후 무신란이 일어나 문벌 귀족을 대체할 한문 출신들이 중앙 정계에 진출하면서 지배층의 변화가 일어남. 이들이 ‘신진사류’. 그러나 신진사류가 사대부층을 형성해 지배층의 헤게모니를 장악하거나 기존의 지배층을 교체하지는 않았음. 구 문벌 귀족 출신 중 무신 집권기에도 살...)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12월 3일 (화) 14:44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2강 조선 전기 문학을 보는 시각 - 훈구파와 사림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조선 초의 두 문인, 정도전과 권근 === 고려 말 신흥사대부는 온건파(이색, 정몽주 등) / 강경파(정도전, 조준 등)로 나뉘었음. 강경파와 무인 세력인 이성계과 손잡고 역성혁명을 일으켜 승리를 거둠. 조선 건국 초의 문인으로는 삼봉 정도전, 양촌 권근 두 사람이 주목됨. ==== -정도전 ==== 정도전은 고려 공민왕 때 급제했으며, 이색의 문생. 조선 태조 3년(1394년)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10월 27일 (일) 19:04 125.132.198.112 토론님이 제7강 무신란 이후의 문학과 신진사류의 의식 지향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무신란과 문학장의 변화 === 고려전기; 문벌 귀족 사회로, 문벌귀족들에 의해 한문학이 주도됨. 인주 이씨(이자겸), 해주 최씨(최충), 경주 김씨(김부식) 등의 문벌이 주목되는데, 이러한 문벌의 인물들이 과거를 통해 입신하고 권력을 차지했으며 문학 담당층이 되었음. 1170년(고려 의종)에 일어난 무신란을 분기점으로 고려 후기가 시작됨. 정중부는 반란을 일으...)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10월 20일 (일) 20:32 125.132.198.112 토론님이 제4강 신라의 문호 최치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최치원은 우리나라 한문학의 비조로 일컬어짐. 문학 뿐만 아니라 유, 불, 선을 회통하는 사상 방면에서도 주목되는 인물. === 생애 === 최치원은 857년(9세기 중엽)태어남. 12살 때인 868년 당으로 유학을 떠나게 됨. 최치원의 아버지는 이때 “10년 안에 과거에 합격하지 못하면 내 아들이 아니다.”라고 말함. (당시 신라에 당에 간지 10년 안에 과거 합격을 못하면 귀국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10월 14일 (월) 16:31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31강 여성 주체의 새로운 모습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새로운 여성주체들 === 임윤지당, 남의유당, 이빙허각, 이사주당, 초옥, 덴동어미 등 18세기 이후 주목되는 여성 주체의 면모가 있음. 이중 임윤지당, 남의유당, 이빙허각, 이사주당은 실존하는 사대부 집안의 여성이고, 초옥은 소설 <포의교집>의 여성주인공, 덴동어미는 가사 <덴동어미화전가>의 주인공임. 초옥과 덴동어미는 미천한 신분의 여성이며 작중인물....)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9월 30일 (월) 18:09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30강 김려와 이옥, 근대의 성취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품, 혹은 패사소품 명말청초 소주, 항주와 같은 강남의 도회를 중심으로 ‘소품’이 성행함. 소품: 짧은 형식의 산문, 인간의 삶과 사물을 감각적으로 그리면서 작가의 감정이나 욕망을 진솔하게 드러냄. 우리 문학사에서 소품이 문제되는 것은 영, 정조 때. 이 시기 활동한 젊은 문신들은 대개 소품에 대한 취향이 있었음. -> 정조가 문체반정을 통해 소품을 금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9월 30일 (월) 17:07 203.252.223.253 토론님이 2) 새로운 시대정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운영전」은 우리 고전소설을 대표하는 걸작 중 하나임. 그러나 작품의 작자와 창작 시기가 밝혀지지 않음. 『금오신화』, 『구운몽』과 같은 작품의 경우 작자가 당대부터 알려져 있었던 반면 「운영전」은 작자에 대한 정보가 전혀 없음. 창작 시기도 17세기 전반으로 추정될 뿐 정확한 시기를 알 수 없음. 「상사동기」, 「왕경룡전」과 함께 『삼방록』이라...)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9월 30일 (월) 16:49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30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소품, 혹은 패사소품 명말청초 소주, 항주와 같은 강남의 도회를 중심으로 ‘소품’이 성행함. 소품: 짧은 형식의 산문, 인간의 삶과 사물을 감각적으로 그리면서 작가의 감정이나 욕망을 진솔하게 드러냄. 우리 문학사에서 소품이 문제되는 것은 영, 정조 때. 이 시기 활동한 젊은 문신들은 대개 소품에 대한 취향이 있었음. -> 정조가 문체반정을 통해 소품을 금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8월 26일 (월) 14:02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9강 탈놀이와 민족의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탈놀이는 18세기에 대두하여 19세기에 성행함. 이 시기의 탈놀이는 종합 예술적 성격을 가지지만 대사가 있다는 점에서 문학으로서도 문제적임. 18-19세기의 탈놀이는 강렬한 민중 의식을 분출하고 있어 문학사적으로 주목됨. 민중의식은 사설시조, 야담, 판소리에서도 나타나지만 탈놀이의 민중 의식은 양반에 대한 전면적 부정을 보인다는 점에서 다른 장르와 다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8월 26일 (월) 13:58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8강 야담의 성행과 『청구야담』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조선 후기에 출현한 서사 장르, 야담 === 조선 후기에 출현한 서사 장르: 국문소설, 판소리,-> 우리말 장르 / 한문장편소설, 전계소설, 야담. -> 한문 장르 야담: 주로 시정에 유포된 민간의 이야기가 작가에 의해 한문으로 기록된 것. 짧은 형식의 서사 장르(단형서사). 구전되던 이야기를 한문으로 기록했다는 점에서 -> 야담은 기록문학과 구전문학의 성격을 모두...)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8월 12일 (월) 03:40 122.34.63.24 토론님이 제27강 추방된 자의 글쓰기-정약용과 이학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유배문학 === 유배: 죄인을 수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격리하는 것. 감옥에 갇히는 것은 아니지만 거주의 공간이 제한되며, 유배지 밖을 벗어날 수 없음.(편지를 주고받거나 가족이 유배지에 왕래하는 것은 가능.) 죄의 경중에 따라 2천 리, 2천5백 리, 3천 리로 나뉨. 유배객은 대개 정치범임. 즉, 동아시아에서 유배는 최고 권력자가 신하나 반대자를 처벌하는 통...)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7월 22일 (월) 04:21 122.34.63.24 토론님이 제26강 생사를 건 인정투쟁―이언진의 등장과 『호동거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괴물의 등장 === 이언진(1740-1766)은 18세기 중엽의 문인으로, 당시는 개성적인 문인들이 많았음.(박지원, 이덕무, 박제가 성대중 등) 이언진은 이들과 달리 중인 역관 출신. 이언진은 본인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글쓰기를 하였음. 시작(诗作)은 그에게 있어 미적 사유 행위였고, 소여(所與)로서의 신분 차별에 대한 항의와 부정으로서의 의미를 갖는 것. -> 즉, 이어진에...)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7월 10일 (수) 10:59 Kimyujin 토론 기여 계정이 생성되었습니다
- 2024년 7월 8일 (월) 04:30 122.34.63.24 토론님이 제24강 조선의 문호 박지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조선 최고의 산문가, 박지원 === 박지원의 글은 형식면에서 개성적이고, 창의적이며 미적 성취가 빼어남. 내용 역시 심오하고 문제적임 -> 따라서 박지원은 전근대 시기 최고의 문장가로 여겨짐. 이때 ‘문장가’=산문가. 한국고전문학사에서 문호로 꼽을 수 있는 여러 작가가 있지만, 박지원처럼 자유분방하고 기발한 산문을 써내지는 못함. === 박지원의 생애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7월 1일 (월) 17:20 203.252.223.253 토론님이 1) 역사 속의 인간 운명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3. 문제적 개인의 등장과 새로운 전망 ‘문제적 개인’: 근대 유럽의 리얼리즘 소설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등장한 개념. -> 소설은 ‘문제적 개인’을 찾아가는 과정, 조화를 꿈꾸는 개인과 조화가 무너진 세계의 불일치에서 출발함. 문제적 개인은 낯선 세계 속에서 자신의 개별성을 넘어 이상적인 세계와 관계를 맺을 때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고, 이상적인 세계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7월 1일 (월) 16:28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3강 탈중화주의와 새로운 세계관의 정초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중화주의와 화의론 === 중화주의: 한족이 다스리는 중국이 천하의 중심이고, 중국 문물이 가장 우수하다는 세계관. (자민족 중심주의) 중화주의는 중화와 이적(중국 바깥의 종족과 민족)을 엄별하기 때문에 ‘화이론(華夷論)’으로 귀결될 수밖에 없음. 중화주의와 화이론에서는 이적의 문화에 대한 존중이 없고, 이적을 사람과 짐승의 중간 정도로 여겨 인륜과...)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40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보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290 |1 |鬪謎語余弁得官 |수수께끼로 무인 여씨가 벼슬을 얻다 |- |291 |2 |守廳妓使巡使下障 |수청 기생이 순사에게 방문을 열게 하다 |- |292 |3 |代雪久寃厚得善報 |오래된 원환을 대신 갚아주고 후한 보답을 받다 |- |293 |4 |改嫁女聞讀還歸 |개가한 여인이 책 읽는 것을듣고 친정으로 돌아가다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40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10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268 |1 |偸隣釀四儒詠詩 |이웃집 술을 훔쳐 먹은 네 선비가 시를 읊다 |- |269 |2 |檢巖屍匹婦解寃 |바위 위 시신을 검시해 여인의 원한을 풀어주다 |- |270 |3 |博川郡知印效忠 |박천군에 사는 지인이 충성을 바치다 |- |271 |4 |晋陽城義妓捨生 |진양성 의기가 목숨을 버리다 |- |272 |5 |李節度麥場逢神僧 |이절도사가 보리타작 마당에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40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9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232 |1 |施神術土亭聽夫人 |토정이 부인의 말을 듣고 신술을 행하다 |- |233 |2 |惑妖妓冊室逐知印 |요사스러운 기생에 현혹된 책실이 지인을 쫓아내다 |- |234 |3 |矜朴童靈城主婚 |박문수가 박동을 불쌍히 여기고 혼인을 주선하다 |- |235 |4 |擇孫婿申宰善相 |관상 잘 보는 신 재상이 손녀 배필을 고르다 |- |236 |5 |進米泔柳瑺聽街語...)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40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8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202 |1 |貸營錢義城倅占風 |바람 점을 친 의성 원이 감영의 돈을 빌리다 |- |203 |2 |得巨産濟州伯佯病 |꾀병 앓은 제주목사가 큰 재산을 모으다 |- |204 |3 |敎衙童海印僧爲師 |해인사 스님이 수령 아이의 스승이 되다 |- |205 |4 |赦窮儒柳統使受報 |유통제사가 가난한 선비의 죄를 눈감아주어 보답 받다 |- |206 |5 |鬼物每夜索明珠 |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9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7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75 |1 |洪相國早窮晩達 |홍상국이 일찍이 궁핍했다가 늦게 현달하다 |- |176 |2 |柳上舍先貧後富 |유생원이 가난했다 부자가 된 사연 |- |177 |3 |李副學海營省叔父 |숙부 뵈러 해주 감영에 간 이부제학 |- |178 |4 |盧玉溪宣府逢佳妓 |노옥계가 선천에서 아름다운 기생을 만나다 |- |179 |5 |投三橘空中現靈 |하늘에서 귤 세 개를 던져주...)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9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6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43 |1 |守貞節崔孝婦感虎 |정절을 지킨 효부 최씨가 호랑이를 감동시키다 |- |144 |2 |鬪劍術李裨將斬僧 |검술로 중을 벤 이비장 |- |145 |3 |李武弁窮峽擊猛獸 |이무변이 산골짜기에서 맹수를 찌르다 |- |146 |4 |南師古東國選十勝 |남사고가 선별한 우리나라 십승지 |- |147 |5 |完山妓獨受布衣帖 |완산 기생 혼자 포의의 첩을 받다 |- |14...)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9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5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07 |1 |廉義士楓岳逢神僧 |염의사가 금강산에서 신승을 만나다 |- |108 |2 |吳按使永湖逢薛生 |관찰사 오윤겸이 영랑호에서 설생을 만나다 |- |109 |3 |廬墓側孝感泉虎 |여막 옆의 효감천과 호랑이 |- |110 |4 |延父命誠動天神 |아버지 목숨을 늘리려는 정성이 하느님을 감동시키다 |- |111 |5 |得金缸兩夫人相讓 |금 항아리를 얻고 두 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9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4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79 |1 |責荊妻淸士化隣氓 |아내에게 회초리질을 한 선비가 이웃 사람을 교화하다 |- |80 |2 |治牛商貧僧逢明府 |소장수와 가난한 스님이 현명한 판관을 만나다 |- |81 |3 |劫舊主叛奴受刑 |옛 주인을 겁박한 종들이 형을 받다 |- |82 |4 |逢丸商窮儒免死 |궁핍한 선비가 탄환 상인을 만나 죽음을 면하다 |- |83 |5 |信卜說湖儒探香 |호남...)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8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3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59 |1 |田統使微時識宰相 |전동흘이 재상감을 알아보다 |- |60 |2 |李節度窮途遇佳人 |이무변이 궁지에서 아름다운 사람을 만나다 |- |61 |3 |得美妻居士占穴 |거사가 명혈을 잡아주어 아름다운 처를 얻게 하다 |- |62 |4 |獲重寶慧婢擇夫 |지혜로운 여종이 남편을 골라 큰 보물을 얻다 |- |63 |5 |金丞相窮途遇義妓 |궁지에 몰린 김승상...)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8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2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27 |1 |楊承宣北關逢奇耦 |양승선이 북관에서 기이하게 짝을 만나다 |- |28 |2 |李尙書元宵結芳緣 |이안눌이 정월 대보름날 밤 아름다운 인연을 맺다 |- |29 |3 |伽倻山孤雲聘孫婦 |가야산 고운 선생이 손자며느리를 맞이하다 |- |30 |4 |大人島商客逃殘命 |거인도에 간 상인이 겨우 목숨을 건지다 |- |31 |5 |鄭北窓望氣消災厄 |정북창...)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31 Ishrek 토론 기여님이 청구야담 권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 |1 |償宿恩歲送衣資 |오래된 은혜를 갚고 해마다 옷가지를 보내다 |- |2 |2 |撤淫祠火燒錦緞 |음사를 철거하고 비단을 불태우다 |- |3 |3 |鎖陰囊西伯弄舊友 |음낭에 자물쇠를 채워 친구를 희롱한 평안감사 |- |4 |4 |裹蒸豚中夜訪神交 |한밤에 삶은 돼지를 싸서친구 집을 찾아가다 |- |5 |5 |義男臨水喚兪鐵 |의남이 물가에서 유철...)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11일 (화) 12:16 Ishrek 토론 기여님이 권1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class="wikitable" |No |순차 |제목 |국역 |- |1 |1 |償宿恩歲送衣資 |오래된 은혜를 갚고 해마다 옷가지를 보내다 |- |2 |2 |撤淫祠火燒錦緞 |음사를 철거하고 비단을 불태우다 |- |3 |3 |鎖陰囊西伯弄舊友 |음낭에 자물쇠를 채워 친구를 희롱한 평안감사 |- |4 |4 |裹蒸豚中夜訪神交 |한밤에 삶은 돼지를 싸서친구 집을 찾아가다 |- |5 |5 |義男臨水喚兪鐵 |의남이 물가에서 유철...)
- 2024년 6월 4일 (화) 17:59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21강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판소리는 언제, 왜 발생했나 === 판소리는 한 명의 창자(소리꾼)가 한 명의 고수(북치는 사람)의 북장단에 맞추어 이야기를 창과 아니리로 엮어 연극적으로 공연하는 구전 서사시에 해당함. 구전서사시는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지만, 한국의 구전 서사시는 문학, 음악, 연극이 결합되어 있는 종합 예술이라는 점에서 독특한 면모를 지님. 영조 30년(1754)에 유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6월 4일 (화) 17:47 203.252.223.253 토론님이 3장 '문제적 개인'의 등장과 새로운 전망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 역사 속의 인간 운명 2) 새로운 시대정신)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8:18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0.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7세기 전반의 한국 고전소설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상흔 속에서 시작됨.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쟁을 보는 시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뉨. 1. 전쟁의 시대에 던져진 인간 존재에 대한 고민이나 세계에 대한 환멸을 작품 저변에 둠 <nowiki>:</nowiki> 애정 전기류 <주생전>, <운영전>, <최척전> / 신선전의 영향을 수용한 전계소설 <남궁선생전>, <장생전> 2.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7:48 203.252.223.253 토론님이 1. 인간 실존의 형식: 환멸과 초월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2.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 17세기 전반의 한국 고전소설은 임진왜란, 병자호란의 상흔 속에서 시작됨.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쟁을 보는 시선에 따라 크게 세 부류로 나뉨. 1. 전쟁의 시대에 던져진 인간 존재에 대한 고민이나 세계에 대한 환멸을 작품 저변에 둠 <nowiki>:</nowiki> 애정 전기류 <주생전>, <운영전>, <최척전> / 신선전의 영향을 수용한 전계소설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16:26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2. 현실 비판의 형식: 희망 없는 비판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몽유록 - 두 차례의 큰 전쟁을 치른 뒤 전쟁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를 하기 위해 작가들이 재발견한 형식 중 하나 - '꿈에 노닌 기록'인 몽유록은 전기소설의 진화 과정에서 파생된 독특한 소설 형식 - 김시습의 「남염부주지」, 「조신전」이 형식적 연원 - 이를 확장하여 전쟁 체험을 직접적으로 토로하고 역사적 인물에 대한 포폄과 의론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8일 (화) 02:05 122.34.63.24 토론님이 2장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 인간 실존의 형식: 환멸과 초월 === === 2. 현실 비판의 형식: 희망 없는 비판 === === 3. 현실 극복의 형식: 정신승리법 ===)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8:18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장 전쟁과 사회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은 17세기 동아시아 격변기를 집약한 역사적 사건. 임진왜란은 1592년 4월 13일 왜군의 침략으로 시작되어 1598년 11월 19일 왜군의 철수까지, 6년 8개월 동안 벌어진 전쟁임. 일본의 군대는 100년 가까이 벌어진 내전으로 축적된 전쟁 경험과 조총으로 대표되는 화력을 가지고 있어 전쟁 초기에는 승승장구함. 이 초기 전쟁의 분수령은 '달천 전투'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8:18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8강 국문소설 및 장편소설의 형성과 전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조선 후기 소설을 보는 시각 - 한문소설과 국문소설 === 17세기 이전에는 국문소설이나 장편소설이 창작된 적이 없음, 우리 문학사에서 국문소설 및 장편소설의 창작이 이루어진 것은 17세기. 다만 16세기에 국문소설이 창작되지는 않았어도 채수의 <설공찬전>과 같이 국문으로 변역되어 유포된 소설은 존재하였음. 완전히 국문으로 창작된 소설은 17세기에 처음...)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3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2부 이념의 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장 사회 재편의 두 갈래 길과 소설의 재발견 2장 사대부 중심의 통합 논리 3장 배타적인 사족중심주의 4장 선민의식과 가문중심주의)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2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부 전쟁의 시대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장 전쟁과 사회 2장 전쟁을 보는 세 개의 시선 3장 '문제적 개인'의 등장과 새로운 전망)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21일 (화) 15:30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한국 소설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1부 전쟁의 시대 2부 이념의 시대)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5월 7일 (화) 17:54 203.252.223.253 토론님이 제17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7강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 == === 두 번의 큰 전쟁 === 1592년 4월~1598년 11월까지를 임진왜란이라 함. 임진왜란으로 명은 국력이 급격히 쇠약해졌지만, 만주의 누르하치는 여진족을 통일해 세력을 확장하고 1616년 후금이라는 나라를 세우게 됨. 이후 1627년 후금은 조선을 침략하고 (정묘호란), 1636년 다시 조선을 침입함. (병자호란) 임진왜란을...)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16일 (화) 17:52 203.252.223.253 토론님이 『구운몽』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 구운몽의 형성경로 === <구운몽>의 형성경로는 세 가지 측면에서 조명되어야 함, * 환몽구조: 작품을 감싸고 전체적으로 구조적 완결성 부여 * 편력구조: 액자 내부 서사의 주요 골격을 이룸 * 전기소설의 전통: 액자 내부의 하위 서사에 뼈대와 살을 제공. -> 전기소설의 전통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함. === [전기소설 전통의 변용] === 구운몽은 전기소설을 중심...)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12일 (금) 04:06 122.34.63.24 토론님이 제14강 국문시가와 우리말 표현의 경계 - 정철, 박인로, 윤선도의 시조와 가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제14강 국문시가와 우리말 표현의 경계 - 정철, 박인로, 윤선도의 시조와 가사 = 조선이 건국된 지 50여년 후 훈민정음이 창제됨으로써 우리 문학사는 새로운 단계로 접어들게 됨. 이전에는 차자 표기법을 사용했으나, 사용법에 제약이 많고 궁색하였음. 고려시대로 들어와서는 향찰표기가 쇠퇴하고 한자, 한문 표기가 주가 되었음. 이로 인해 토풍이 위축되고 화풍...)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4월 5일 (금) 03:34 122.34.63.24 토론님이 제13강 세조의 왕위 찬탈에 대한 문학적 대응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세조의 왕위 찬탈 === 1453년(계유년, 단종 원년) 10월,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 원로대신 수십명을 살해하고 정권을 잡음. 계유정난이라는 명칭: 정난(靖難)은 변란을 평정했다는 뜻, 수양대군은 얀평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과 모의해 왕위를 찬탈하려 했고, 이를 평정했다고 주장, 즉, 계유정난은 수양대군 측의 용어인 것. 이 사건으로 정인지, 신숙주, 한...)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9일 (금) 03:20 122.34.63.24 토론님이 제10강 우리말 사랑의 노래들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10강 우리말 사랑의 노래들 == 고려속요 대부분은 사랑을 노래하고 있음. 고려속요의 사랑에는 남녀간의 사랑, 임금에 대한 사랑, 부모에 대한 사랑 등이 있음. 고려 속요는 사랑을 노래하는 방식이 다양함을 보여줌. 대부분은 사랑의 노래지만, <청산별곡>처럼 사랑의 노래가 아닌 것도 존재함. === 고려속요/속악가사라는 용어 === ‘속요(俗謠)’라는 말에서 ‘속...)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9일 (금) 01:30 122.34.63.24 토론님이 제9강 삼국 다시 읽기와 토풍의 소환―『삼국유사』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9강 삼국 다시 읽기와 토풍의 소환 -<삼국유사> == 김부식의 <삼국사기> 편찬 130년 후에 승려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함. 일연은 대몽항쟁기를 살았던 사람으로, <삼국유사> 속에는 민족적 위기에 대한 일연 나름대로의 문제의식이 담겨 있음. 일연은 김부식과는 다른 관점으로 ‘삼국 다시 읽기’ 함으로써 민족적 주체성을 이끌어 내고 있음. <삼국유사>는 한문...) 태그: 시각 편집
- 2024년 3월 23일 (토) 09:50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 '''=== *『창선감의록』: 정치적인 대립, 가정 내 갈등, 애정 장애의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작품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역사상의 정치적 대립: 작품의 큰 배경을 이룸. 중국의 역사서 및 정치적 대립을 담은 ‘역사소설’이 영향을 미침. #복합적인 결연의 장애: 작품 내부. ‘재자가인소설’이 영향을 미침. :※ 인물 설정과 애정관계 형성, 정치적 대...)
- 2024년 3월 19일 (화) 03:35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고전장편소설 형성의 의의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장편소설 형식의 성립 #소설과 '지배 이념'의 결합)
- 2024년 3월 19일 (화) 03:35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장편소설의 장편화 방법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운몽』의 장편화 방법 #『창선감의록』의 장편화 방법 #『소현성록』의 장편화 방법)
- 2024년 3월 19일 (화) 03:33 Lpdj200619 토론 기여님이 17세기 장편소설의 형성 경로 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새 문서: #『구운몽』의 형성 경로 #『창선감의록』의 형성 경로 #『소현성록』의 형성 경로)